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할 요소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의 해석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이 다소 엉뚱한 방향으로 수업을 흘러가게 만들지도 모릅니다.
예를들어
소인수분해를 이해한다 -> 소인수분해를 계산할 수 있다. -> 익숙해 지면 된다. -> 쉬운 계산 방법을 알려주고 반복하게 만들자.
와 같이 해석하고 단순 반복 형태의 문제를 많이 제공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이 잘못되었다고 이야기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스스로 위의 방법이 본인에게 적합한지, 적합하지 않은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은 필요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그러한 기준을 먼저 정해두고 수업을 준비해야 합니다. 잠시 아래의 질문들에 대해 답해 보시길 바랍니다.
위 질문들에 대한 답이 수업을 설계할 때, 내가 바라는 방법을 선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기준이 될 것입니다. 수학을 담당하는 저는 다음과 같이 생각합니다.
저는 학생들이 배움을 즐거움을 회복하는 수업을 하고 싶습니다. 호기심 가득하던 어린 시절을 지나, 학교 생활을 하며 학생들의 호기심은 사라지고 배우는 것이 과업처럼 느껴지는 듯 합니다. 학교라는 공간이, 특히 수업은 학생들에게 배우는 것이 즐거운 일이라는 것을 다시 알게 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언제든지 새로운 것을 배우고 도전할 수 있는 학생들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이러한 목표에 수학은 꽤나 적합한 과목입니다. 수학은 복잡한 상황을 간결하게, 그리고 어려운 과제를 보다 쉽게 만들어 줍니다. 학생들이 자신의 과제를 수학을 통해서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경험들을 하게 된다면 학생들은 다시금 배움의 즐거움을 회복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따라서 수업도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이 필요해 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학생이 해결하기 어려워 답답하고 막막한 순간에 적절한 도구를 수학이 제공하여 주거나, 더 나아가 스스로 그러한 도구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면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수학을 배우고, 행할 것이며, 배움의 행위의 가치를 느끼게 될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저의 경우는 소인수분해의 이해를 앞서 제시한 해석 처럼 진행하여 반복하여 다량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학생들이 소인수분해를 잘 해낼 수 있게 만드는 방법은 될 수 있을지 모르나, 학생들에게 또 다시 배움을 멀리하게 만드는 일이라 생각됩니다.
이처럼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할 경험을 선택할 때에는 자신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수업의 모습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목표의 부합여부가 유일한 판단 기준이 되어야 합니다.
학생들이 배움의 즐거움을 회복하는 것, 수학으로 어려운 과제를 보다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경험들을 제공해야한다.
학생들이 진정으로 배우는 것이 즐거워야 한다는 설명이 납득됩니다. 수학을 통해 복잡한 상황을 간결하게, 쉬운 문제를 어렵게 만들어보는 등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이 필요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겠군요.
학생들이 배우는 것을 즐기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에 동감합니다. 수학적 개념이 필요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생님의 목표는 학생들이 배움을 즐거워하도록 하는 것이고, 수학은 그 목표에 부합하는 적합한 과목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