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업보기의 방향
- 교사가 아닌, 아이들을 중심으로 본다.
- 구체적인 사실에 근거해서 수업 대화를 나눈다.
- ‘아이눈으로 수업 보기’의 방법을 이용하며 1교사가 2명의 학생을 관찰하여 학생들의 활동상황을 상세하게 기록한다.(아이들을 중심으로 보기위한 방법) 이 기록은 아래의 수업에서 주목할 점들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가 되어야 한다.
- 수업에서 주목해서 볼 점 : 아이들이 어디에서 배우고 어디에서 주춤거리는지, 교사의 지도에 따라 아이들은 어떻게 배우는지, 아이들 간의 의미 있는 의사소통이 되고 있는지, 배움과 상관없는 불필요한 말과 행동은 없는지, 교사와 아이들이 서로 들어주는 관계인지, 교사의 의도와 수업의 흐림 및 학생의 배움이 일치하는지 등
- 참관하는 수업에 빠져들지 않아야 한다. 칠판이나 교사를 보는 것이 아니라 칠판과 교사를 보는 학생을 보아야 한다. 활동지를 보는 것이 아니라 활동지를 보는 아이들을 보아야한다. 아이들만을 끈기 있고 세밀하게 바라보자.
- 수업 중 학생의 활동에 관여하지 않고 막힐 때 아이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어떻게 해결하려고 노력하는지 묵묵히 관찰한다.
- 관찰 기록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이야기 한다.
(ex)이러이러한 대화를 보니 학생의 배움은 이러이러하고 교사의 이러한 발문에 학생이 이러이러한 행동을 하여 수업에 이러이러한 영향을 미쳤다.
- 가르침을 주고받는 게 아니라 다 함께 생각하고 이야기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비평적 관점으로 수업 대화하기
① 수업자의 의도에 초점을 맞춘 비평
② 수업의 맥락에 초점을 맞춘 비평
③ 교과 내용에 초점을 맞춘 비평
④ 교사 중심, 학생 중심 혹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하는 비평
⑤ 수업이 일어나는 공간을 분석하는 공간비평, 수업이 전개되는 시간의 특질을 분석하는 시간 비평
- 자신이 보기에 수업의 좋은 점이나 아쉬운 부분에 대해 이야기 하는 방법 : 참관자의 판단을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자로 하여금 되돌아 볼 수 있도록 이야기를 한다.
① 아이의 입장에서 수업에 대해 이야기 한다.
(ex1) 참관자 : 아이가 학습지의 이 부분을 채우는 데 어려움을 호소했어요. 친구와의 대화를 들어보니 이런 부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였던 것 같아요.
수업자 : 사실 그 부분이 걱정이었어요. 발문을 통해 미리 그 부분을 점검하는 게 좋았을 거 같네요.
(ex2) 참관자 : 선생님이 이러이러한 이야기를 아이에게 해주고 가니까 아이가 어려워했던 부분을 해결하고 그 이후 수업에 적극적으로 임하더라구요.
수업자 : 학생에게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이네요. 사실 답변을 해주고 학생이 생각할 여지를 뺏을 정도로 구체적인 정보를 준 건 아닌가 걱정이었거든요.
② 수업자의 의도와 비추어보고 수업자의 의도대로 수업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한다.
(ex1) 참관자 : 학생들이 이것을 배움으로써 장점이 무엇인지에 대해 아는 것을 목표로 두셨던 것 같은데, 마지막에 학습지에 정리하는 부분을 작성할 때 선생님이 정리를 해버리시던데 원래 의도하신대로 수업이 잘 되신 건가요?
수업자 : 아, 사실 저도 그 부분을 학생들이 고민해볼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려고 했는데 수업시간에 쫓겨서 초조해졌던 것 같고, 아이들이 스스로 정리하지 못할 거 같다는 불안감도 가지고 있었던 것 같아요.
(ex2) 참관자 : 학생이 다소 엉성한 답변을 하긴 했지만 그 답변을 다른 친구와 연결지어주면서 정교해져가는 과정이 선생님이 바라시는 학생의 학습관을 반영하는 거 같았습니다.
(ex1) 참관자 : 선생님께서 다른 학생에 비해 A학생을 많이 부르시는 거 같더라구요. 오늘도 5번을 호명하셨는데 의도하신 건가요?
수업자 : 제가 그랬나요? 생각지 못한 부분이네요. 다른 아이보다 그 아이에 대한 평소 믿음이 두터워서 그랬나 봐요. 어찌 보면 다른 학생에게는 편애로 비춰질 수도 있었을까요?
- 수업 속 토의 주제 및 도전적 과제 찾기
① 수업 연수는 해결의 ‘끝’을 맛보는 것이 아니라 도전의 ‘시작’을 만드는 것이다.
(ex) 학생 주도로 진행되는 수업 속에서 교사는 언제 개입할 것인가?
② 도전적 과제를 선정하여 이후의 수업을 어떻게 바꿀지 약속
“교사 수업에서 나를 만나다”
"수업 디자인"
"배움의 공동체"